국민연금 예상수령액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간단 조회
직장에 근무하시는 분, 사업에 종사하시는 분, 소득이 없어도 납부를 신청하신 분들은 매달 꼬박꼬박 국민연금을 납부하고 계시죠.
선택이 아니라 국민의 의무라고 하는 국민연금제도!
가끔은 점점 국민연금재원이 고갈되어 가고 있다는 기사에 맘이 아플 때도 있는데 그렇다면 "나는 미래에 얼마를 받게 되는가? "궁금해질 때가 있죠.
요즘엔 카카오톡으로 미래의 수령액을 보내주더라고요. 갑자기 카카오톡에 국민연금 납부액과 수령액을 확인할 수 있다는 고지가 와서 놀랐는데 확인해보니 국민연금 납부액과 미래 수령액도 예상할 수 있고 좋더라고요.
평상시에 내가 낸 국민연금액이 미래에 매달 얼마나 받을 수 있을지 확인하는 방법을 이번 포스팅에서 나누어 보겠습니다. ^^
먼저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메인화면의 내 연금 알아보기라는 커다란 파란색 메뉴가 보이시죠.
이 메뉴를 클릭하는 것에서부터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가 시작이 됩니다.
내 연금 알아보기를 클릭하면 공인인증서 인증 없이 간단하게 예상 연금을 알아볼 수 있는 메뉴가 있고 공인인증서 인증하고 좀 더 세부적으로 자세히 예상 연금에 대해서 알아볼 수 있는 2개의 큰 메뉴가 보입니다. ^^
예상 연금 모의계산과 예상연금 간단 계산이라는 연두색 사각형 메뉴들이 보이시죠.
인증서가 없고 한 달에 얼마만큼 국민연금으로 빠져나가는지 아시는 분은 인증 없이 간단히 조회 메뉴를 이용하셔도 되겠습니다.
<예상 연금 모의계산>
인증 없이 예상연금 모의계산 메뉴입니다.
기본정보와 소득정보 크레디트 정보를 수작업으로 입력을 해주셔야 예상 연금을 알 수가 있어요.
<예상연금 간단 계산>
인증 없이 예상 연금 간단 계산 메뉴입니다.
월납입 보험료를 입력하고 예상연금액 조회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노령연금, 장애연금, 유족연금의 예상수령액이 계산되어 나옵니다.
저는 예를 들어 월 납입보험료를 10만 원이라고 입력했는데요.
국민연금을 10년 가입했다면 매월 185,410원을 받을 수 있고 40년 가입했다면 매원 717,720원을 받을 수 있다고 계산이 되어 나왔습니다.
여태까지는 공인인증서 없이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방법을 알아보았는데요. 아래에서는 공인인증서 인증후에 국민연금 예상수령액을 조회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공인인증서 인증 후 예상 연금 조회하기>
이제는 공인인증서를 인증하고 내 예상연금액을 알아보는 메뉴로 넘어가겠습니다.
예상연금액 조회를 눌러주세요.
왼쪽의 "국민연금 예상연금액 알아보기"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개인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고 공인인증서 인증을 진행하는 메뉴가 차례로 나옵니다.
공인인증서 인증을 마치면 노령연금 조회 탭이 바로 뜨면서 현재 소득으로 만 60세까지 국민연금을 납부할 경우 받게 되는 예상수령액이 나옵니다.
매월 예상연금액의 세전 금액, 세후 금액과 예상 총 납부월수, 예상 납부보험료 총액, 평균소득월액이 나옵니다.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방법은 국민연금공단 사이트에 접속해서 공인인증서 없이 간편하게 예상액을 조회해볼 수도 있고 공인인증서 인증을 통한 다음 좀 더 자세히 국민연금 예상수령액을 알 수가 있습니다.
매달 내가 내고 있는 국민연금 납부액이 미래에는 얼마를 받게 될지 궁금하신 분들이 이번 포스팅 보고 한번 개인의 미래 국민연금 예상 납부액 조회해보세요. ^^
결혼하신 분들은 배우자의 국민연금 예상수령액도 조회하셔서 두 분이 같이 얼마를 받을 수 있을지 예상해보시고 노후연금계획 세우 실때 참고하시면 좋을 겉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정부지원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금체불 퇴직금미지급 해결! 소액체당금 신청하기 (0) | 2020.06.12 |
---|---|
2020 에너지 바우처 신청방법 사용방법 총정리 (0) | 2020.06.11 |
서울시 자영업자 생존자금 신청방법 자격조건 확인 (0) | 2020.06.02 |
2020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지원 놓치지 마세요. (0) | 2020.05.29 |
휴일지킴이 약국 찾기 (일요일 약국 조회 ) (0) | 2020.05.27 |
댓글